주 효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효왕은 주 목왕의 아들이자 의왕의 숙부로, 의왕 사후 주 왕위에 즉위했다. 서견구의 비자가 말 사육에 능하다는 것을 알고 견강과 위수 사이에서 말 관리를 맡겼으며, 비자가 말의 수를 늘리자 진의 땅을 하사했다. 효왕의 사적은 문헌에 거의 언급되지 않으나, 산시성 바오지시 메이현 양자촌 굴장에서 발견된 금문 래반을 통해 실존이 확인되었다. 효왕 사후에는 종손인 희섭이 제후들에 의해 옹립되어 이왕으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선왕
주 선왕은 서주 시대의 왕으로, 주 정공과 소 목공의 보좌를 받아 국세를 중흥시키고 동생 우를 정나라 군주로 봉했으며, 사주편을 저술하여 전서를 완성했다. - 기원전 9세기 중국의 군주 - 웅순
- 기원전 9세기 중국 사람 - 주 선왕
주 선왕은 서주 시대의 왕으로, 주 정공과 소 목공의 보좌를 받아 국세를 중흥시키고 동생 우를 정나라 군주로 봉했으며, 사주편을 저술하여 전서를 완성했다. - 기원전 9세기 중국 사람 - 송 애공
송 애공은 춘추 시대 송나라의 마지막 군주로, 내부 권력 다툼과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여 송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다. - 주나라의 왕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주나라의 왕 - 주 혜왕
주 혜왕은 동주 시대 제17대 왕으로, 자퇴의 난으로 쫓겨났다가 복위했으며, 제 환공에게 패자의 지위를 하사하고 후처의 아들을 총애하여 태자의 지위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주 효왕 | |
---|---|
기본 정보 | |
왕조 | 주 (서주) |
본관 | 희 (姬) |
휘 | 벽방 (辟方) |
시호 | 효왕(孝王) 또는 고왕(考王) |
아버지 | 주 목왕 |
배우자 | 왕징 |
왕위 | |
즉위 | 주나라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891년 – 기원전 886년 |
이전 통치자 | 의왕 |
다음 통치자 | 이왕 |
생애 | |
사망일 | 기원전 886년 |
중국어 정보 | |
시호 (한자) | 周孝王 |
병음 | Zhōu Xìao Wáng |
2. 생애
목왕의 아들로, 조카[11]인 의왕이 사망하자 주 왕위에 즉위했다[11].
효왕 사후, 의왕의 태자인 희섭이 제후들에 의해 옹립되어 주 왕으로 즉위했다[11].
효왕의 사적은 전세 문헌에 거의 언급되지 않으며, 산시성바오지시메이현 양자촌 굴장에서 발견된 금문 "래반"을 통해 비로소 실존이 확인되었다[15].
2. 1. 비자와의 관계
서견구의 비자가 말 사육에 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 효왕은 비자를 불러 견강과 위하 사이에서 말 관리를 맡겼고, 1년 후 비자는 말의 수를 두 배로 늘렸다. 이에 만족한 효왕은 비자에게 진의 땅을 하사했다.[14]3. 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주 목왕 |
왕비 | 王京|왕경중국어 |
주 목왕의 아들이며, 왕비는 王京|왕경중국어이다.[11]
3. 1. 후계
효왕이 사망하자, 의왕의 태자인 종손 희섭이 제후들에 의해 옹립되어 주 왕으로 즉위했다.[11]4. 발굴 및 실존 확인
효왕의 사적은 전세 문헌에 거의 언급되지 않으며, 산시성바오지시메이현 창싱진 양자촌 굴장에서 발견된 금문 "래반"에 의해 비로소 실존이 확인되었다.[15]
5. 평가
효왕의 통치 기간은 짧았지만, 비자를 등용하고 진나라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진나라의 건국은 훗날 진시황의 중국 통일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기에, 효왕의 통치가 중국 역사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효왕의 사적은 전해지는 문헌에 거의 언급되지 않았으나, 산시성 바오지시 메이현 常兴镇 (眉县)|창싱진|창싱진중국어 양자촌 굴장에서 발견된 금문 래|래반한국어을 통해 비로소 그 실존이 확인되었다.[15]
참조
[1]
서적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Inscribed Bronze Vessels
[2]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2
Caves Books Ltd.
1986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
서적
Le Mu Tianzi Zhuan
[5]
문서
Origins of Chinese Literature
[6]
서적
China: From Neolithic cultures through the Great Qing Empire 10,000 BCE-1799 CE
[7]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8]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9]
서적
Annals of Qin
Zhonghua Book Company
2010
[10]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1]
서적
史記
[12]
서적
史記
[13]
서적
史記
[14]
서적
史記
[15]
간행물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